UPDATE | January 27, 2023

삼성바이오로직스,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 연매출 3조원 돌파

  • MAIL

삼성바이오로직스,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 연매출 3조원 돌파


- 22년 연결기준 매출 3조 13억원·영업익 9,836억원…영업익 1조원 육박 

- 로직스 별도기준 매출 2조 4,373억원…매출 1조 달성 2년만에 2조 돌파

- 에피스 별도기준 매출 9,463억원…제품 판매 확대로 창사 후 최대 성과

- 경제 위기에도 사상 최대 실적… 3대축 중심 글로벌 톱 바이오 기업 도약

 

[2022년 연간 실적]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 경제 위기에도 불구하고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로 2022년 연간 매출 3조원을 돌파하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조원에 육박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별도 기준으로도 매출 2조 4,373억원, 영업이익 9,68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8,693억원(+55%), 영업이익은 4,316억원(+80%)씩 각각 증가했다. 매출액은 2020년 1조원 달성 이후 2년 만에 2조원을 넘어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존 림)는 2022년 연간 연결 기준 매출 3조 13억원, 영업이익 9,836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금) 공시를 통해 밝혔다. 

 

수주 확대 및 공장 가동률 상승, 삼성바이오에피스 100% 자회사 편입에 따른 외형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매출은 1조 4,333억원(+91%), 영업이익은 4,463억원(+83%)씩 각각 크게 증가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매출 9,463억원, 영업이익 2,315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로 전년 대비 매출은 993억원(+1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88억원(+20%)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말 연결기준 자산은 16조 5,821억원, 자본 8조 9,845억원, 부채 7조 5,976억원을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84.6%, 차입금 비율은 23.4%로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구분

2022

2021

YoY

연결기준

매출액

30,013

15,680

+14,333

(+91%)

영업이익

9,836

5,373

+4,463

(+83%)

로직스

매출액

24,373

15,680

+8,693

(+55%)

영업이익

9,681

5,365

+4,316

(+80%)

에피스

매출액

9,463

8,470

+993

(+12%)

영업이익

2,315

1,927

+388

(+20%)

(단위억원)

 

[4분기 실적]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수주 확대 및 공장 가동률 상승, 바이오에피스 100% 자회사 편입에 따른 외형 확대 등의 영향으로 연결 기준 4분기 매출 9,655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3,128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별도 기준 매출은 공장 가동률 상승 및 운영 효율 극대화, 환율 상승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34억원(+68%) 증가한 7,477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99억원(+140%) 증가한 3,085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에 따라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8억원(+10%) 증가한 2,446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88억원(+180%) 증가한 604억원을 기록했다.

 

분기실적

구분

'22. 4Q

'21. 4Q

YoY

'22. 3Q

QoQ

연결기준

매출액

9,655

4,443

+5,212

(+117%)

8,730

+925

(+11%)

영업이익

3,128

1,288

+1,840

(+143%)

3,247

-119

(-4%)

로직스

매출액

7,477

4,443

+3,034

(+68%)

6,746

+731

(+11%)

영업이익

3,085

1,286

+1,799

(+140%)

3,114

-29

(-1%)

에피스

매출액

2,446

2,218

+228

(+10%)

2,698

-252

(-9%)

영업이익

604

216

+388

(+180%)

779

-175

(-22%)

(단위 억원)

 

[Appendix]

 

1. 삼성바이오로직스 연도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 

삼성바이오로직스 연도별 매출액 & 영업이익
(단위 억원) 

 

2. 사업 현황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글로벌 인플레이션·美 연준의 긴축 등 전세계 경제 위기에도 불구하고 선제적인 투자 및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를 통해 글로벌 톱 바이오 기업으로의 도약을 본격화했다.

 

CMO 부문은 지난해 10월, 착공 23개월만에 단일공장 기준 세계 최대 생산능력(24만L)을 갖춘 4공장 부분 가동을 시작해 위탁생산능력을 강화했다. 4공장은 현재까지 글로벌제약사 8개사와 11종 제품에 대해 계약 체결을 완료했고, 추가로 26개 이상 잠재 고객사와 34종 이상의 위탁생산 계약을 논의 중에 있다.

 

CDO 부문에서는 비대칭 구조로 생산력·안정성을 높인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 '에스듀얼(S-DUAL)'과 신약 후보물질의 안정성 등을 분석 및 선별하는 '디벨롭픽(DEVELOPICK)'을 출시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누적 수주 건수는 CMO 74건, CDO 101건이며, 누적 수주액은 95억 달러 규모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해 4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100% 자회사로 전환됐으며,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현재 총 10종의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중 6종을 상용화했다.

 

지난해에는‘휴미라’ 바이오시밀러(SB5) 고농도 제형의 미국 허가를 획득했고,‘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SB16)와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SB17)의 임상 3상을 완료하는 등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며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향후 10년간 바이오 사업에 7조 5천억을 투자해 3대 축(생산능력· 포트폴리오·지리적 거점) 중심의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제2바이오캠퍼스를 통한 생산능력 확장을 추진하는 한편 CDO 사업 강화 및 항체약물접합체(ADC)·유전자치료제 등 차세대 의약품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는 방침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 연매출 3조원 돌파


- 22년 연결기준 매출 3조 13억원·영업익 9,836억원…영업익 1조원 육박 


- 로직스 별도기준 매출 2조 4,373억원…매출 1조 달성 2년만에 2조 돌파


- 에피스 별도기준 매출 9,463억원…제품 판매 확대로 창사 후 최대 성과


- 경제 위기에도 사상 최대 실적… 3대축 중심 글로벌 톱 바이오 기업 도약

 

[2022년 연간 실적]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 경제 위기에도 불구하고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로 2022년 연간 매출 3조원을 돌파하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조원에 육박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별도 기준으로도 매출 2조 4,373억원, 영업이익 9,68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8,693억원(+55%), 영업이익은 4,316억원(+80%)씩 각각 증가했다. 매출액은 2020년 1조원 달성 이후 2년 만에 2조원을 넘어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존 림)는 2022년 연간 연결 기준 매출 3조 13억원, 영업이익 9,836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금) 공시를 통해 밝혔다. 

 

수주 확대 및 공장 가동률 상승, 삼성바이오에피스 100% 자회사 편입에 따른 외형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매출은 1조 4,333억원(+91%), 영업이익은 4,463억원(+83%)씩 각각 크게 증가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매출 9,463억원, 영업이익 2,315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로 전년 대비 매출은 993억원(+1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88억원(+20%)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말 연결기준 자산은 16조 5,821억원, 자본 8조 9,845억원, 부채 7조 5,976억원을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84.6%, 차입금 비율은 23.4%로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구분

2022

2021

YoY

연결기준

매출액

30,013

15,680

+14,333

(+91%)

영업이익

9,836

5,373

+4,463

(+83%)

로직스

매출액

24,373

15,680

+8,693

(+55%)

영업이익

9,681

5,365

+4,316

(+80%)

에피스

매출액

9,463

8,470

+993

(+12%)

영업이익

2,315

1,927

+388

(+20%)

(단위억원)

 

[4분기 실적]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수주 확대 및 공장 가동률 상승, 바이오에피스 100% 자회사 편입에 따른 외형 확대 등의 영향으로 연결 기준 4분기 매출 9,655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3,128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별도 기준 매출은 공장 가동률 상승 및 운영 효율 극대화, 환율 상승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34억원(+68%) 증가한 7,477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99억원(+140%) 증가한 3,085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에 따라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8억원(+10%) 증가한 2,446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88억원(+180%) 증가한 604억원을 기록했다.

 

분기실적

구분

'22. 4Q

'21. 4Q

YoY

'22. 3Q

QoQ

연결기준

매출액

9,655

4,443

+5,212

(+117%)

8,730

+925

(+11%)

영업이익

3,128

1,288

+1,840

(+143%)

3,247

-119

(-4%)

로직스

매출액

7,477

4,443

+3,034

(+68%)

6,746

+731

(+11%)

영업이익

3,085

1,286

+1,799

(+140%)

3,114

-29

(-1%)

에피스

매출액

2,446

2,218

+228

(+10%)

2,698

-252

(-9%)

영업이익

604

216

+388

(+180%)

779

-175

(-22%)

(단위 억원)

 

[Appendix]

 

1. 삼성바이오로직스 연도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

삼성바이오로직스 연도별 매출액 & 영업이익
(단위 억원) 

 

2. 사업 현황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글로벌 인플레이션·美 연준의 긴축 등 전세계 경제 위기에도 불구하고 선제적인 투자 및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를 통해 글로벌 톱 바이오 기업으로의 도약을 본격화했다.

 

CMO 부문은 지난해 10월, 착공 23개월만에 단일공장 기준 세계 최대 생산능력(24만L)을 갖춘 4공장 부분 가동을 시작해 위탁생산능력을 강화했다. 4공장은 현재까지 글로벌제약사 8개사와 11종 제품에 대해 계약 체결을 완료했고, 추가로 26개 이상 잠재 고객사와 34종 이상의 위탁생산 계약을 논의 중에 있다.

 

CDO 부문에서는 비대칭 구조로 생산력·안정성을 높인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 '에스듀얼(S-DUAL)'과 신약 후보물질의 안정성 등을 분석 및 선별하는 '디벨롭픽(DEVELOPICK)'을 출시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누적 수주 건수는 CMO 74건, CDO 101건이며, 누적 수주액은 95억 달러 규모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해 4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100% 자회사로 전환됐으며,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현재 총 10종의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중 6종을 상용화했다.

 

지난해에는‘휴미라’ 바이오시밀러(SB5) 고농도 제형의 미국 허가를 획득했고,‘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SB16)와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SB17)의 임상 3상을 완료하는 등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며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향후 10년간 바이오 사업에 7조 5천억을 투자해 3대 축(생산능력· 포트폴리오·지리적 거점) 중심의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제2바이오캠퍼스를 통한 생산능력 확장을 추진하는 한편 CDO 사업 강화 및 항체약물접합체(ADC)·유전자치료제 등 차세대 의약품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는 방침이다. 

  • CDO
  • CGMP
  • ADC
  • Bio Campus
  • IR
  • CMO

Share article

  • MAIL

SITE MAP

close
Close

Your download is ready

아래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시면 바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Close

Subscribe to Our Newsletter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등록하시면 당사 뉴스룸에서 제공되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최신 소식과 관심 분야별 유용한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Subscribe to Our Newsletter
  • 관심분야
    • - 개인정보 수집 목적 : 이메일 발신서비스 제공
    •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이메일 주소, 회사명, 이름, 직급, 국가
    • - 이용 및 보관 기간 : 이메일 발신서비스 해지 시까지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하지 않을 시,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따라 개인정보는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Close

Fill out the form and learn more

Please sign up to view the post...
* 필수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초점받기 링크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본 홈페이지에서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인 장치를 통해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형사처벌 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웹접근성도움말

초점받기 링크 웹접근성도움말
웹 접근성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누구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을 준수했습니다. 장애인(시각ㆍ청각), 노인 등 어떤 플랫폼에서도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됐습니다.

반응형 웹

다양한 장치에서 동일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이트를 볼 수 있습니다.

웹접근성 안내
  • 1. 다양한 웹브라우저 / 운영체제

    다양한 웹 브라우저와 운영체제에서 누구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2. 이미지 대체 텍스트 제공

    시각적 정보에 취약한 시각장애인을 위해 이미지를 음성 등의 청각적인 정보로 대체 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청각적 정보에 취약한 청각장애인을 위해 동영상에 자막 등의 시각적 정보를 제공합니다.

  • 3. 키보드만으로 조작

    마우스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을 위해 키보드 사용만으로도 정보에 접근이 용이합니다. 키보드 Tab 또는 Shift+Tab을 통해 순서대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 4. 가독성을 위한 명도대비

    시력이 좋지 않은 노인 및 시각 장애인을 위해 콘텐츠의 명도대비를 4.5 : 1 이상으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