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 October 14, 2025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5 참가

  • MAIL

BPI Korea SBL booth rendering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5 삼성바이오로직스 부스 이미지


- 2년 연속 단독 부스 마련… 초격차 생산능력, 엔드-투-엔드 서비스 역량 강조

- 고객 신약개발 가속화 지원하는 CDO 전략 발표… CDO 서비스 경쟁력 부각

- 국내외 콘퍼런스 참여로 고객 접점 확대… 적극적인 수주 활동에 박차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는 국내 최대 제약·바이오 종합 컨벤션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5(BIOPLUS-INTERPHEX KOREA 2025, 이하 BIX 2025)'에 참가한다고 14일 밝혔다.

 

BIX는 한국바이오협회가 주최하고 RX코리아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박람회다. 이 행사는 최신 기술과 산업 동향을 공유하고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통한 파트너십을 모색하는 교류의 장으로, 올해는 10월 15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약 300개 기업과 1만 2천명 이상의 인원이 행사장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년 연속 단독 부스를 마련한다. 부스에서는 월 그래픽을 통해 2032년까지 확보 예정인 초격차 생산능력(132만4000리터)과 함께 ▲삼성 오가노이드(Samsung Organoids) ▲위탁개발(CDO) 플랫폼 ▲차세대 모달리티 서비스 역량 등 임상시험수탁(CRO)부터 위탁생산(CMO) 까지 아우르는 엔드-투-엔드 서비스 역량을 강조한다.

 

특히 올해 부스에서는 최근 공개한 신규 CMO 브랜드 '엑설런스 (ExellenSTM)'를 적극 알릴 예정이다. 엑설런스는 동등성(Equivalency)과 속도(Speed)를 핵심 가치로 삼아, 고객에게 일관된 품질의 의약품을 신속히 공급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생산체계 (Manufacturing Framework)를 의미한다.

 

행사 이틀째인 16일(목)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CDO 서비스 경쟁력을 강조하는 세션이 진행된다. 이태희 항체배양PD팀장(상무)이 연사로 나서 '신약개발 가속화: 개발 가능성 평가부터 IND 제출까지(Streamlining Drug Development: From Developability Assessment to IND Submission)'를 주제로 고객사의 신약개발 일정을 단축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행사 기간 동안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한 스폰서십 활동도 진행한다. 전시장 부스 상단에는 행잉 배너를, 하단에는 플로어 배너를 설치하고 회사의 비전과 서비스 경쟁력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지속적으로 다양한 글로벌 콘퍼런스에 참가하며 기존 및 잠재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해오고 있다. 앞서 올해 6월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 10월 '바이오 재팬(BIO Japan)' 등에서 다양한 고객사들을 만났다. 이어 오는 10월 말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제약·바이오 콘퍼런스인 'CPHI Worldwide'에 참가해 수주 활동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BPI Korea SBL booth rendering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5 삼성바이오로직스 부스 이미지


- 2년 연속 단독 부스 마련… 초격차 생산능력, 엔드-투-엔드 서비스 역량 강조


- 고객 신약개발 가속화 지원하는 CDO 전략 발표… CDO 서비스 경쟁력 부각


- 국내외 콘퍼런스 참여로 고객 접점 확대… 적극적인 수주 활동에 박차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는 국내 최대 제약·바이오 종합 컨벤션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5(BIOPLUS-INTERPHEX KOREA 2025, 이하 BIX 2025)'에 참가한다고 14일 밝혔다.

 

BIX는 한국바이오협회가 주최하고 RX코리아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박람회다. 이 행사는 최신 기술과 산업 동향을 공유하고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통한 파트너십을 모색하는 교류의 장으로, 올해는 10월 15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약 300개 기업과 1만 2천명 이상의 인원이 행사장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년 연속 단독 부스를 마련한다. 부스에서는 월 그래픽을 통해 2032년까지 확보 예정인 초격차 생산능력(132만4000리터)과 함께 ▲삼성 오가노이드(Samsung Organoids) ▲위탁개발(CDO) 플랫폼 ▲차세대 모달리티 서비스 역량 등 임상시험수탁(CRO)부터 위탁생산(CMO) 까지 아우르는 엔드-투-엔드 서비스 역량을 강조한다.

 

특히 올해 부스에서는 최근 공개한 신규 CMO 브랜드 '엑설런스 (ExellenSTM)'를 적극 알릴 예정이다. 엑설런스는 동등성(Equivalency)과 속도(Speed)를 핵심 가치로 삼아, 고객에게 일관된 품질의 의약품을 신속히 공급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생산체계 (Manufacturing Framework)를 의미한다.

 

행사 이틀째인 16일(목)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CDO 서비스 경쟁력을 강조하는 세션이 진행된다. 이태희 항체배양PD팀장(상무)이 연사로 나서 '신약개발 가속화: 개발 가능성 평가부터 IND 제출까지(Streamlining Drug Development: From Developability Assessment to IND Submission)'를 주제로 고객사의 신약개발 일정을 단축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행사 기간 동안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한 스폰서십 활동도 진행한다. 전시장 부스 상단에는 행잉 배너를, 하단에는 플로어 배너를 설치하고 회사의 비전과 서비스 경쟁력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지속적으로 다양한 글로벌 콘퍼런스에 참가하며 기존 및 잠재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해오고 있다. 앞서 올해 6월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 10월 '바이오 재팬(BIO Japan)' 등에서 다양한 고객사들을 만났다. 이어 오는 10월 말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제약·바이오 콘퍼런스인 'CPHI Worldwide'에 참가해 수주 활동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Share article

  • MAIL

Related Content

SITE MAP

close
Close

Your download is ready

아래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시면 바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Close

Subscribe to Our Newsletter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등록하시면 당사 뉴스룸에서 제공되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최신 소식과 관심 분야별 유용한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Subscribe to Our Newsletter
  • 관심분야
    • - 개인정보 수집 목적 : 이메일 발신서비스 제공
    •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이메일 주소, 회사명, 이름, 직급, 국가
    • - 이용 및 보관 기간 : 이메일 발신서비스 해지 시까지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하지 않을 시,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따라 개인정보는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Close

Fill out the form and learn more

Please sign up to view the post...
* 필수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초점받기 링크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본 홈페이지에서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인 장치를 통해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형사처벌 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웹접근성도움말

초점받기 링크 웹접근성도움말
웹 접근성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누구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을 준수했습니다. 장애인(시각ㆍ청각), 노인 등 어떤 플랫폼에서도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됐습니다.

반응형 웹

다양한 장치에서 동일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이트를 볼 수 있습니다.

웹접근성 안내
  • 1. 다양한 웹브라우저 / 운영체제

    다양한 웹 브라우저와 운영체제에서 누구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2. 이미지 대체 텍스트 제공

    시각적 정보에 취약한 시각장애인을 위해 이미지를 음성 등의 청각적인 정보로 대체 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청각적 정보에 취약한 청각장애인을 위해 동영상에 자막 등의 시각적 정보를 제공합니다.

  • 3. 키보드만으로 조작

    마우스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을 위해 키보드 사용만으로도 정보에 접근이 용이합니다. 키보드 Tab 또는 Shift+Tab을 통해 순서대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 4. 가독성을 위한 명도대비

    시력이 좋지 않은 노인 및 시각 장애인을 위해 콘텐츠의 명도대비를 4.5 : 1 이상으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