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는 무슨 일을 하는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 준비한 직무 릴레이 탐구 시리즈!
이번 편에서는 DP CS팀 유현규 프로와 함께 바이오의약품의 마지막을 책임지는 ‘완제의약품(DP: Drug Product)’ 관련 직무에 대해 알아봅니다.
DP는 완제의약품(Drug Product)의 약자로, 모든 제조 공정이 완료되어 최종적으로 인체에 투여할 수 있도록 일정한 제형으로 제조된 의약품을 뜻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DP 사업부에서는 원료의약품(Drug Substance)을 동결건조(Lyophilization) 또는 액체(Liquid) 형태로 바이알(Vial)이라 불리는 유리병에 담는 무균충전부터, 이물검사, 라벨 및 2차 포장작업, 출하 등의 모든 공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DP 사업부 중에서도 제가 속한 DP CS(Client Satisfaction) 팀은 ‘프로젝트 관리(PM: Project Management)’와 ‘기술 이전(TT: Technology Transfer)’를 업무를 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PM은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도록 고객사 및 내부 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의견을 조율하고 전체 프로젝트 일정 관리를 책임집니다.
기술 이전은 고객사의 바이오의약품이 우리 회사의 생산 환경에서 최적화되어 생산될 수 있도록 해당 의약품의 공정 및 분석법, 시험법 등의 기술을 이전하는 것으로, 저는 주로 ‘기술 이전’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이 기술 이전을 통해 설계한 프로세스대로 잘 생산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현장 오퍼레이터들과 수시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일도 주요 일과 중 하나입니다.
또한 공정들이 적합한 품질의 제품을 일관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공정 밸리데이션(Process Validation)’과 일부 ‘프로젝트 관리’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제가 담당한 프로젝트의 기술 이전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고, 여러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생산된 완제품들이 FDA 등 글로벌 허가기관의 승인을 받았을 때 특히 보람차요.
또한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한 고객사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순간에도 힘을 많이 얻습니다. 가끔 고객사로부터 DP에서 생산한 제품이 시판된 사진을 받기도 하는데, 우리가 생산한 바이오 의약품으로 누군가의 소중한 삶을 지키고 있다는 점에서 큰 자부심과 책임감을 느낍니다.
특정 전공과의 연관성을 찾기는 어렵지만, 부서 분들을 보면 화학공학을 전공하신 분들이 많은데, Filtration이나 Chromatography에 대해 미리 공부하고 오신다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DP 직무에 대한 열정만 있다면 입사 후 직무 교육을 통해 차근차근 전문 지식을 쌓을 수 있는 만큼,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보다도 DP 직무는 국내외 고객사뿐 아니라 다른 부서나 생산 현장에 있는 오퍼레이터 분들, 심지어 같은 부서 내에서도 협업이 필요하므로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한 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서로의 니즈를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나아가는 양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은 업무가 순탄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죠.
DP 관련 직무를 생소하게 느끼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DP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의 가장 마지막 부분을 담당하는 아주 중요하고, 또 바이오의약품의 ‘얼굴’이라고도 볼 수 있는 직무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DP 사업부는 점심시간에 함께 산책도 하고, 틈틈이 고충은 없는지 서로 살피고, 속 깊은 얘기도 나눌 수 있는 끈끈한 동료애를 토대로 진취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제약 현업에 오래 몸담아오신 훌륭한 선배님들로부터 직간접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얻고, 뛰어난 동료들과 함께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DP 사업부에서 함께 도전하면서 성장했으면 좋겠습니다!

관련 콘텐츠
Life @ Samsung Biologics [V-Log] 삼성바이오로직스 JOB 돋보기│공정/개발 : DP공정편
Video 삼성바이오로직스 DP 소개 영상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는 무슨 일을 하는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 준비한 직무 릴레이 탐구 시리즈! 이번 편에서는 DP CS팀 유현규 프로와 함께 바이오의약품의 마지막을 책임지는 ‘완제의약품(DP: Drug Product)’ 관련 직무에 대해 알아봅니다.

DP는 완제의약품(Drug Product)의 약자로, 모든 제조 공정이 완료되어 최종적으로 인체에 투여할 수 있도록 일정한 제형으로 제조된 의약품을 뜻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DP 사업부에서는 원료의약품(Drug Substance)을 동결건조(Lyophilization) 또는 액체(Liquid) 형태로 바이알(Vial)이라 불리는 유리병에 담는 무균충전부터, 이물검사, 라벨 및 2차 포장작업, 출하 등의 모든 공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DP 사업부 중에서도 제가 속한 DP CS(Client Satisfaction) 팀은 ‘프로젝트 관리(PM: Project Management)’와 ‘기술 이전(TT: Technology Transfer)’를 업무를 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PM은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도록 고객사 및 내부 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의견을 조율하고 전체 프로젝트 일정 관리를 책임집니다.
기술 이전은 고객사의 바이오의약품이 우리 회사의 생산 환경에서 최적화되어 생산될 수 있도록 해당 의약품의 공정 및 분석법, 시험법 등의 기술을 이전하는 것으로, 저는 주로 ‘기술 이전’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이 기술 이전을 통해 설계한 프로세스대로 잘 생산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현장 오퍼레이터들과 수시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일도 주요 일과 중 하나입니다.
또한 공정들이 적합한 품질의 제품을 일관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공정 밸리데이션(Process Validation)’과 일부 ‘프로젝트 관리’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제가 담당한 프로젝트의 기술 이전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고, 여러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생산된 완제품들이 FDA 등 글로벌 허가기관의 승인을 받았을 때 특히 보람차요.
또한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한 고객사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순간에도 힘을 많이 얻습니다. 가끔 고객사로부터 DP에서 생산한 제품이 시판된 사진을 받기도 하는데, 우리가 생산한 바이오 의약품으로 누군가의 소중한 삶을 지키고 있다는 점에서 큰 자부심과 책임감을 느낍니다.

특정 전공과의 연관성을 찾기는 어렵지만, 부서 분들을 보면 화학공학을 전공하신 분들이 많은데, Filtration이나 Chromatography에 대해 미리 공부하고 오신다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DP 직무에 대한 열정만 있다면 입사 후 직무 교육을 통해 차근차근 전문 지식을 쌓을 수 있는 만큼,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보다도 DP 직무는 국내외 고객사뿐 아니라 다른 부서나 생산 현장에 있는 오퍼레이터 분들, 심지어 같은 부서 내에서도 협업이 필요하므로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한 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서로의 니즈를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나아가는 양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은 업무가 순탄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죠.

DP 관련 직무를 생소하게 느끼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DP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의 가장 마지막 부분을 담당하는 아주 중요하고, 또 바이오의약품의 ‘얼굴’이라고도 볼 수 있는 직무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DP 사업부는 점심시간에 함께 산책도 하고, 틈틈이 고충은 없는지 서로 살피고, 속 깊은 얘기도 나눌 수 있는 끈끈한 동료애를 토대로 진취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제약 현업에 오래 몸담아오신 훌륭한 선배님들로부터 직간접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얻고, 뛰어난 동료들과 함께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DP 사업부에서 함께 도전하면서 성장했으면 좋겠습니다!

관련 콘텐츠
Life @ Samsung Biologics [V-Log] 삼성바이오로직스 JOB 돋보기│공정/개발 : DP공정편
Video 삼성바이오로직스 DP 소개 영상
Share article
Related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