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Samsung BIO Insight

2025 CDMO 트렌드, 기대와 성장을 품다


글로벌 조사기관 맥킨지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제약사의 연구·개발 비용 증가율은 연간 약 7% 증가하는 반면, CDMO 기업 파트너십으로 인한 비용은 연간 약 12% 증가하며 바이오·제약 업계에서의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를 예측했습니다.1) 삼성바이오로직스 뉴스룸에서 지난달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제약 투자 행사 JP 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논의된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2025 CDMO 시장 트렌드를 전합니다. 


 

대표 기대 주자로 떠오른 ADC와 다중항체 


2025년에도 돋보이는 키워드는 ‘신규 모달리티(Modality)’로, 그중에서도 항체약물접합체(ADC, Antibody Drug Conjugate)와 이중항체 등 다중항체 혁신 신약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말 항암제 분야 ADC 의약품의 긍정적인 임상 시험 결과가 새로 보고됨에 따라 기술 거래와 함께 혁신 ADC 신약을 선점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아루쉬 나랑 프로(기획그룹)는 “항암, 자가면역 질환 분야에서 ADC와 다중항체 의약품이 괄목할 만한 임상 시험 성과를 보이면서 글로벌 제약사들이 새로운 모달리티 의약품을 중심으로 신규 파이프라인을 확대하려는 동향이 포착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2025년 1월에 진행된 ADC 분야의 인수합병과 기술 거래액만 총 20억 달러(약 2조 9,300억 원)에 달하는 등 시장 확대에 따라 글로벌 ADC 위탁 생산 시장도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500L 규모의 생산 역량을 갖춘 ADC 생산 시설을 완공했고, 

2027년 1분기 목표로 ADC 완제의약품 시설을 확충하며 엔드 투 엔드(End-to-end) 서비스 제공 계획을 발표했다.

 

한편, 다중항체 의약품에도 귀추가 주목됩니다. 특히 지난해에는 기존 블록버스터 의약품 효능을 능가하는 이중항체 후보물질의 임상 결과가 발표되고, 폐암, 췌장암 표적 이중항체 치료제가 FDA 판매 승인을 신규 획득하는 등 이중항체 신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CDMO 업계, 유연성과 운영 효율성 기대


“글로벌 바이오·제약 시장의 종양학(Oncology) 분야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빅파마의 바이오텍 인수합병(M&A)을 통한 신성장 동력원 확보 및 파이프라인 강화에 따라 위탁 생산 파트너와의 협력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하은 프로(Market Intelligence 팀)는 2025년도에도 CDMO 업계 전반적으로 위탁 생산 파트너십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ADC나 다중항체 등 다양한 모달리티 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CDMO의 대응과 유연한 생산 능력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AI와 디지털 기술도 주목받은 주요 키워드 중 하나입니다. 바이오·제약 업계의 AI 기술 활용이 증가하면서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최근 AI 활용 규제 프레임워크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CDMO 파트너로서 운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바이오의약품 개발과 생산 공정 전반에 걸쳐 AI를 도입하는 등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을 밝혔습니다. 디지털화를 통해 고객사가 실시간으로 공정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적용해 자동으로 최적의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등 더 높은 생산성과 만족도를 제공하겠다는 방침입니다. 



3대 축 확장 본격화하며 초격차 경쟁력 강화 



바이오·제약 업계의 성장과 빅파마의 중장기 전략에 따라 CDMO 업계에도 활력이 계속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글로벌 CDMO 시장 성장과 생산 시설 확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5년 4월 제5공장을 완공해 총 생산능력 78만 4,000L를 확보하는 동시에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를 통해 ADC와 유전자 치료제 등 혁신 기술을 보유한 벤처 투자를 확대하며 차세대 기술 확보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2027년에는 시장 수요에 맞춰 전형 주사기(Pre-filled Syringe, PFS) 완제 의약품 설비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인류의 미래를 그리는 바이오·제약 업계의 중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5년에도 4E(▲고객 만족, Customer Excellence, ▲우수한 운영 효율, Operational Excellence, ▲최고 품질, Quality Excellence, ▲뛰어난 임직원 역량, People Excellence) 기반의 성장 동력을 강화하며 신뢰할 수 있는 CDMO 파트너로서 변화의 흐름과 함께 미래로 나아갑니다.

 

______________________

1) McKinsey & Company. 2025, Jan 9. Building a shared vision for pharma R&D–supplier partnerships



관련 콘텐츠

Press Release 삼성바이오로직스, 5공장·ADC로 '3대축 확장' 본격화

Samsung BIO Insight 스케일 업(Scale up), 다중 항체


글로벌 조사기관 맥킨지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제약사의 연구·개발 비용 증가율은 연간 약 7% 증가하는 반면, CDMO 기업 파트너십으로 인한 비용은 연간 약 12% 증가하며 바이오·제약 업계에서의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를 예측했습니다.1) 삼성바이오로직스 뉴스룸에서 지난달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제약 투자 행사 JP 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논의된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2025 CDMO 시장 트렌드를 전합니다. 


 

대표 기대 주자로 떠오른 

ADC와 다중항체 


2025년에도 돋보이는 키워드는 ‘신규 모달리티(Modality)’로, 그중에서도 항체약물접합체(ADC, Antibody Drug Conjugate)와 이중항체 등 다중항체 혁신 신약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말 항암제 분야 ADC 의약품의 긍정적인 임상 시험 결과가 새로 보고됨에 따라 기술 거래와 함께 혁신 ADC 신약을 선점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아루쉬 나랑 프로(기획그룹)는 “항암, 자가면역 질환 분야에서 ADC와 다중항체 의약품이 괄목할 만한 임상 시험 성과를 보이면서 글로벌 제약사들이 새로운 모달리티 의약품을 중심으로 신규 파이프라인을 확대하려는 동향이 포착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2025년 1월에 진행된 ADC 분야의 인수합병과 기술 거래액만 총 20억 달러(약 2조 9,300억 원)에 달하는 등 시장 확대에 따라 글로벌 ADC 위탁 생산 시장도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500L 규모의 생산 역량을 갖춘 ADC 생산 시설을 완공했고, 2027년 1분기 목표로 ADC 완제의약품 시설을 확충하며 엔드 투 엔드(End-to-end) 서비스 제공 계획을 발표했다.

 

한편, 다중항체 의약품에도 귀추가 주목됩니다. 특히 지난해에는 기존 블록버스터 의약품 효능을 능가하는 이중항체 후보물질의 임상 결과가 발표되고, 폐암, 췌장암 표적 이중항체 치료제가 FDA 판매 승인을 신규 획득하는 등 이중항체 신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CDMO 업계, 

유연성과 운영 효율성 기대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의 종양학(Oncology) 분야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빅파마의 바이오텍 인수합병(M&A)을 통한 신성장 동력원 확보 및 파이프라인 강화에 따라 위탁 생산 파트너와의 협력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하은 프로(Market Intelligence 팀)는 2025년도에도 CDMO 업계 전반적으로 위탁 생산 파트너십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ADC나 다중항체 등 다양한 모달리티 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CDMO의 대응과 유연한 생산 능력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AI와 디지털 기술도 주목받은 주요 키워드 중 하나입니다. 바이오·제약 업계의 AI 기술 활용이 증가하면서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최근 AI 활용 규제 프레임워크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CDMO 파트너로서 운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바이오의약품 개발과 생산 공정 전반에 걸쳐 AI를 도입하는 등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을 밝혔습니다. 디지털화를 통해 고객사가 실시간으로 공정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적용해 자동으로 최적의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등 더 높은 생산성과 만족도를 제공하겠다는 방침입니다. 



3대 축 확장 본격화하며 

초격차 경쟁력 강화 



바이오·제약 업계의 성장과 빅파마의 중장기 전략에 따라 CDMO 업계에도 활력이 계속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글로벌 CDMO 시장 성장과 생산 시설 확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5년 4월 제5공장을 완공해 총 생산능력 78만 4,000L를 확보하는 동시에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를 통해 ADC와 유전자 치료제 등 혁신 기술을 보유한 벤처 투자를 확대하며 차세대 기술 확보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2027년에는 시장 수요에 맞춰 전형 주사기(Pre-filled Syringe, PFS) 완제 의약품 설비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인류의 미래를 그리는 바이오·제약 업계의 중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5년에도 4E(▲고객 만족, Customer Excellence, ▲우수한 운영 효율, Operational Excellence, ▲최고 품질, Quality Excellence, ▲뛰어난 임직원 역량, People Excellence) 기반의 성장 동력을 강화하며 신뢰할 수 있는 CDMO 파트너로서 변화의 흐름과 함께 미래로 나아갑니다.

 

______________________

1) McKinsey & Company. 2025, Jan 9. Building a shared vision for pharma R&D–supplier partnerships



관련 콘텐츠

Press Release 삼성바이오로직스, 5공장·ADC로 '3대축 확장' 본격화

Samsung BIO Insight 스케일 업(Scale up), 다중 항체

SITE MAP

close
Close

Your download is ready

아래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시면 바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Close

Subscribe to Our Newsletter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등록하시면 당사 뉴스룸에서 제공되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최신 소식과 관심 분야별 유용한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Subscribe to Our Newsletter
  • 관심분야
    • - 개인정보 수집 목적 : 이메일 발신서비스 제공
    •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이메일 주소, 회사명, 이름, 직급, 국가
    • - 이용 및 보관 기간 : 이메일 발신서비스 해지 시까지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하지 않을 시,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따라 개인정보는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Close

Fill out the form and learn more

Please sign up to view the post...
* 필수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초점받기 링크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본 홈페이지에서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인 장치를 통해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형사처벌 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보안신고

귀하의 소중한 한마디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핵심기술 및 경영정보 보호는 물론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는데 초석이 됩니다.

  • 본 페이지는 핵심기술 및 경영정보 유출 제보를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 신고내용은 보안이 유지되며, 제보자의 신원 또한 철저히 보장됩니다.
보안신고 제보방법
닫기

웹접근성도움말

초점받기 링크 웹접근성도움말
웹 접근성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누구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을 준수했습니다. 장애인(시각ㆍ청각), 노인 등 어떤 플랫폼에서도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됐습니다.

반응형 웹

다양한 장치에서 동일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이트를 볼 수 있습니다.

웹접근성 안내
  • 1. 다양한 웹브라우저 / 운영체제

    다양한 웹 브라우저와 운영체제에서 누구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2. 이미지 대체 텍스트 제공

    시각적 정보에 취약한 시각장애인을 위해 이미지를 음성 등의 청각적인 정보로 대체 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청각적 정보에 취약한 청각장애인을 위해 동영상에 자막 등의 시각적 정보를 제공합니다.

  • 3. 키보드만으로 조작

    마우스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을 위해 키보드 사용만으로도 정보에 접근이 용이합니다. 키보드 Tab 또는 Shift+Tab을 통해 순서대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 4. 가독성을 위한 명도대비

    시력이 좋지 않은 노인 및 시각 장애인을 위해 콘텐츠의 명도대비를 4.5 : 1 이상으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