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 2022 ESG 보고서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경제·사회·환경적 부문에 걸쳐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며, ESG 성과를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ESG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매년 본 보고서의 발행을 통해 회사의 한 해 성과와 활동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경영활동에 반영함으로써 ESG 경영활동의 효과성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2022 ESG 보고서

매년 본 보고서의 발행을 통해 회사의 한 해 성과와 활동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경영활동에 반영함으로써 ESG 경영활동의 효과성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 보고 기간
-
보고 기간은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이며, 일부 중대한 성과의 경우 2022년 상반기까지의 이슈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정량적 성과는 연도별 추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개년(일부 환경 데이터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개년) 데이터를 함께 수록하였습니다.
- 작성 기준
-
본 보고서는 지속경영보고서 발간을 위한 글로벌 작성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의 핵심적 부합 방법 (Core Option)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또한 ISO 26000, 유엔글로벌콤팩트(UN Global Compact) 원칙, <IR>Framework, SASB 정보공개 표준, TCFD 권고안을 참고하였습니다.
- 보고 범위
-
보고 범위는 국내외 전 사업장의 ESG 경영 활동과 성과를 포함합니다. 재무정보는 K-IFRS 연결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재무적 정보 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정보 모두 당사 공시체계에 따라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에너지 사용 관련 자료와 온실가스 배출량은 배출량 검증 결과에 따라 작성하였습니다.
2022 TCFD 보고서
-
-
2022 TCFD 보고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2년 첫 번째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 보고서(TCFD 보고서)를 발간 하였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속가능한 CDMO로서 글로벌 기후 변화를 면밀히 주시하며, 기후 위기가 글로벌 헬스케어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발행을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 기회 요인과 그에 따른 재무적 영향 및 사업 전략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의사결정에 필요한 더욱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 보고 기간
-
CDP 보고기준 및 회계연도 기준에 따라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일부 중대한 내용의 경우 2022년 하반기까지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정량적 데이터는 연도별 비교를 위하여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개년 데이터를 함께 수록하였습니다.
- 작성 기준
-
본 보고서는 TCFD권고안에 따라 작성하였습니다.
- 보고 범위
-
배출량은 CDP 기준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 업스트림, 다운스트림 등 전범위를 대상으로 산정하였습니다.2021년 연결기준에 따라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는 Scope 3으로 포함되었습니다. 기후변화 전 성과를 포함, 재무적 정보뿐 아니라 비재무적 정보 모두 당사 공시체계에 따라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에너지 사용 관련 자료와 온실가스 배출량은 제3자 검증 결과에 따라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