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속가능한 파트너로서 바이오 산업 전반의 지속가능한 움직임을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글로벌 리더십을 바탕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포함한 환경 보호를 넘어, 사회와 생태계를 아우르는 책임경영을 실천하며, 더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내일을 만들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노력을 소개합니다.
모든 과정에서 실현하는 지속가능성
* 시장 기반 배출량: 재생에너지 구매 등 시장 매커니즘을 통해 감축한 온실가스를 반영한 배출량으로, 재생에너지 구매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것으로 간주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 Zero)* 달성을 목표로 사업장(Scope 1, 2)부터 공급망(Scope 3)까지 가치사슬 전반에서 구체적인 감축 로드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사용량, 재생에너지 전환률, 배출량 등 주요 지표를 수치화해 관리 중이며, TCFD(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 권고안에 따라 기후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이사회와 ESG 위원회, 전 경영진이 책임감을 갖고 지속가능한 성장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 탄소중립: 인간 활동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거나 흡수하여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상태.
글로벌 리더십 발휘, 함께 만드는 저탄소 가치사슬
밸류체인 내 공급망 역할 확대에 따라 공급망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점진적으로 증가 중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영국 찰스 3세 국왕이 주도하는 지속가능한 시장 이니셔티브(SMI: Sustainable Markets Initiative)의 헬스케어 분야 공급망 협의체 의장으로서 글로벌 파트너들과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한 전략을 이끌고 있습니다. 우리회사는 전과정평가(LCA)를 통해 제품의 탄소발자국, 물발자국, 자원발자국을 포함한 총 7개 환경영향 항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사업장뿐만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전반의 환경영향을 과학적으로 진단하며, 글로벌 리더십을 바탕으로 협력사와의 지속가능한 전환을 함께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설계부터 운영까지, 최첨단 바이오 생산기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시설 설계 단계부터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탄소 기술과 순환 자원 시스템을 고려합니다. 2025년 가동을 시작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제5 공장 설계 단계부터 저탄소 그린 콘크리트(15,000㎡ 이상)를 주차장에 적용해 기존 콘크리트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50%를 줄였고, 연간 1,163MWh의 태양광 발전 설비를 도입해 자체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극대화 했습니다.
또한 당사는 2050년 RE100 목표 달성을 위해 PPA(전력구매계약),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구매 방식) 및 녹색 프리미엄 요금제 등 전략적으로 다양한 수단을 적극 적용 중 입니다. 특히 2024년에는 40MW PPA 공급계약을 체결하여, 당사의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한층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전력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RO(역삼투압) 시스템을 활용한 폐수 재이용, RFID 기반의 의료폐기물 관리, 그리고 자체 재활용 시설인 ‘그린 센터’ 운영을 통해 수자원과 폐기물의 자원순환성을 높이며, 자원 효율성과 환경 영향을 함께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생명과 생태계를 잇는 책임, 미래를 위한 약속
세계경제포럼(WEF)은 ‘글로벌 리스크 리포트 2024’에서 생물다양성 손실과 생태계 붕괴를 극단적 기상이변에 이은 가장 중대한 글로벌 리스크로 지목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물다양성을 단순한 환경 이슈가 아닌 지속가능 경영의 핵심 과제로 인식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Nature Positive’ 중장기 관리 로드맵을 수립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Driven. For a Sustainable Life.
지속가능한 운영은 사회적 책임을 넘어,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이기도 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개발과 생산의 모든 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며 더 건강한 내일을 향해 나아갑니다.
관련 콘텐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속가능한 파트너로서 바이오 산업 전반의 지속가능한 움직임을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글로벌 리더십을 바탕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포함한 환경 보호를 넘어, 사회와 생태계를 아우르는 책임경영을 실천하며, 더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내일을 만들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노력을 소개합니다.
모든 과정에서 실현하는 지속가능성
* 시장 기반 배출량: 재생에너지 구매 등 시장 매커니즘을 통해 감축한 온실가스를 반영한 배출량으로, 재생에너지 구매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것으로 간주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 Zero)** 달성을 목표로 사업장(Scope 1, 2)부터 공급망(Scope 3)까지 가치사슬 전반에서 구체적인 감축 로드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사용량, 재생에너지 전환률, 배출량 등 주요 지표를 수치화해 관리 중이며, TCFD(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 권고안에 따라 기후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이사회와 ESG 위원회, 전 경영진이 책임감을 갖고 지속가능한 성장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 탄소중립: 인간 활동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거나 흡수하여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상태.
글로벌 리더십 발휘, 함께 만드는 저탄소 가치사슬
밸류체인 내 공급망 역할 확대에 따라 공급망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점진적으로 증가 중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영국 찰스 3세 국왕이 주도하는 지속가능한 시장 이니셔티브(SMI: Sustainable Markets Initiative)의 헬스케어 분야 공급망 협의체 의장으로서 글로벌 파트너들과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한 전략을 이끌고 있습니다. 우리회사는 전과정평가(LCA)를 통해 제품의 탄소발자국, 물발자국, 자원발자국을 포함한 총 7개 환경영향 항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사업장뿐만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전반의 환경영향을 과학적으로 진단하며, 글로벌 리더십을 바탕으로 협력사와의 지속가능한 전환을 함께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설계부터 운영까지, 최첨단 바이오 생산기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시설 설계 단계부터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탄소 기술과 순환 자원 시스템을 고려합니다. 2025년 가동을 시작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제5 공장 설계 단계부터 저탄소 그린 콘크리트(15,000㎡ 이상)를 주차장에 적용해 기존 콘크리트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50%를 줄였고, 연간 1,163MWh의 태양광 발전 설비를 도입해 자체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극대화 했습니다.
또한 당사는 2050년 RE100 목표 달성을 위해 PPA(전력구매계약),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구매 방식) 및 녹색 프리미엄 요금제 등 전략적으로 다양한 수단을 적극 적용 중 입니다. 특히 2024년에는 40MW PPA 공급계약을 체결하여, 당사의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한층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전력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RO(역삼투압) 시스템을 활용한 폐수 재이용, RFID 기반의 의료폐기물 관리, 그리고 자체 재활용 시설인 ‘그린 센터’ 운영을 통해 수자원과 폐기물의 자원순환성을 높이며, 자원 효율성과 환경 영향을 함께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생명과 생태계를 잇는 책임, 미래를 위한 약속
세계경제포럼(WEF)은 ‘글로벌 리스크 리포트 2024’에서 생물다양성 손실과 생태계 붕괴를 극단적 기상이변에 이은 가장 중대한 글로벌 리스크로 지목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물다양성을 단순한 환경 이슈가 아닌 지속가능 경영의 핵심 과제로 인식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Nature Positive’ 중장기 관리 로드맵을 수립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Driven. For a Sustainable Life.
지속가능한 운영은 사회적 책임을 넘어,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이기도 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개발과 생산의 모든 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며 더 건강한 내일을 향해 나아갑니다.
관련 콘텐츠
- CDO
- CGMP
- ADC
- Bio Campus
- IR
- CMO
Share article